저는 한빛냥이에요.

정체성은 고양이고요.😸

한빛에서 태어난지 9년 되었어요.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2길 62'에 살고 있고, 우리집은 책을 만드는 집이에요.

우리집에서 책을 만든지는 30년이 다되어가죠.(역사가 길어요~므흣.. 내년이면 30주년이래요 :-)


우리집에서는 IT책도 만들고 대학교재도 만들고 경영, 경제, 인문서도 만들고 육아, 여행 등

다양한 도서들을 만들어요.

많은 도서들 중에 나처럼 귀엽고 사랑스러운 고양이가 등장하는 도서도 만들었다는거 알고 있는 사람 손!!!

3권이나 있다규!!!

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얘기를 하냐고?

(갑작스런 반말 진행에...양해를 부탁해..자연스럽게 반말이 나오게 되었어..;)

한 번도 한빛냥에 대해 자세히 소개를 한 적이 없는 것 같고,

나의 정체성을 요즘 찾아가고 있다보니 한빛에 만들어진

냥이들의 책을 찾아보다가 같이 공유하는거얌.😼😻

(이유가 참 심플하지? 난 좀 심플해 ㅋㅋㅋ)


한빛냥은 가끔 한빛 고양이 집사들과 티타임을 가지곤해

어느 오후 시간

함께 모여서 커피☕를 호로록하면서

냥이들 얘기가 꽃피는 도중에 점점 뚱냥이가 되고 있는 사랑스런 냥이😻들 이야기를 듣고

고양이의 다이어트는 어떤게 있는지 궁금해서

지난번에 본 <우리 고양이, 이럴 땐 어떡하지?> 책을 찾아보았어


 

너무 꿀팁이라 이건 꼭 알려주고 싶어💌❗❕

뚱냥이가 되면 조심해야되는 이유부터 설명해줄께

살이찌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 반응이 둔해지고 혈당치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우리 냥이가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데 (헉)🙀🙀🙀🙀🙀

또 혈압이 높아져서 심장에 부담을 주고 과체중으로 인해 관절염도 생길수 있다고해

피부병이나 상처 회복이 더뎌지는 등 만병의 근원이 되는거지.


그럼 어떻게 해야되느냐!

식단 조절과 운동으로 우리 냥이들도 다이어트를 할 수 있게 도와줘야 된다는 것

암컷이냐 수컷이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고양이의 정상 체중은 3~5kg이니까 6kg을 넘으면 비만이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고!

(메이쿤 같은 대형 고양이는 예외)

과체중으로 판명되면, 우선 식단조절부터 고고🥗🥙

이때 무턱대고 원래 먹던 사료의 양을 줄이면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부족 현상이 발생하니까

칼로리가 낮아도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갖춘 다이어트용 사료를 먹이는게 좋아

감량 중에 간식은 NO!!(간식을 못 먹다니..슬프다...ㅠ)

정해진 하루 식사량을 소량으로 나눠서 식사 횟수를 늘리면 훨씬 효과적이래!🌯🌮


요즘 한빛냥도 갈수록 살이 올라서...

다이어트 중이야...

조만간 슬림한 한빛냥을 보여주도록 하겠어.


한빛냥의 찐친 모임

냥이 에디터 집사들의 고양이 일상 생활을 담은 영상도

담아보았엉~

https://youtu.be/Hve6AJnVBsM

한빛에는 고양이를 사랑하는 에디터가 많다는 것😺

한빛냥의 정체성도 고양이라는 것😸

고양이 관련 책을 3권이나 냈다는 것😻

잊지말긔!!!

또만나~~ 안뇽~~

파주에 가볼만한 곳 중

"파주출판도시" 들어보신적 혹, 가보신적 있으신가요?

이름처럼 이곳에서는

기획과 편집, 인쇄와 물류 그리고 유통까지

출판에 관한 모든 과정이 이루어지고있어요~

한빛냥은 평소에 출판 인쇄에 대해 궁금한게 많았는데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제작물류팀 팀장님과 금강인쇄소에 다녀왔습니다 😎😎


 

인쇄 종이 → 인쇄판 만드는 과정  인쇄 과정  제본 과정

인쇄할 종이는 두가지로 포장되어 온다고 해요.

"속포장 / 스키드 포장"

속포장은 일정수량만큼 묶음 포장 하는 것으로, 

용지 두께나 크기에 따라 100장, 250장, 500장 등의 단위로 포장 하게되고,

스키드 포장은 많은 양을 운반할 때 이용하는데요.

스키드 포장의 경우 습기에 대한 대비가 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단기간내에 사용되는 품목이나 대량으로 한번에 공급되는 물량에 적당하다고해요~


자, 이젠 인쇄를 하기 위해 인쇄판을 먼저 만들어야되는데요.

인쇄판을 만들때 알아야되는 용어

"CTP (Computer To Plate)"

 CTP에서는 기존의 방식인 필름 작업을 생략하고 직접 인쇄판을 뽑는 것으로

고객이 보내준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CMYK로 분류해서

C판, M판, Y판, K판으로 각각 보내 만드는 과정이에여~

판이 들어간 후 안에서 레이저를 이용해 색이 들어갈 지점을

인쇄판에 만들어주는데요.

알류미늄판이 들어가서 그림이 찍혀 나오는 곳이

한빛냥은 너무 신기했어요.

(인쇄판이 있어야 인쇄를 한다는 것도 처음 알았음...허허허 😅😅😅)


인쇄판이 만들어 졌다면 다음으로

인쇄를 해야겠죠?

인쇄하러 고오~~~

종이를 넣고  인쇄판을 기준으로 잉크를 뭍혀서 인쇄~~~

(인쇄도 인쇄기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 자세하게 못찍....)

시간당 17,000장을 인쇄하기 때문에

대량 인쇄가 가능한거구나...깨달았습니다.ㅋㅋㅋ 허허;

근데 대체 인쇄 기계는 누가 발명한 걸까요?

문득..궁금해지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보았어요!

두루마리 종이를 이용한 로타리 프린팅 기술을 도입해

시간당 12,000부를 찍어내면서 인쇄 산업의 혁명을 일으킨

"윌리엄 불럭"

나중에 시간당 30,000부를 찍어낼 수 있게 되었는데

안타깝게도 1867년, 돌아가는 바퀴에 다리가 끼면서 큰 사고를 당하고 불과 1주일 후에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 도중 세상을 떠났다고 해요.

(인생 참..... 허무하네여...헛헛)


자 그럼 다시 돌아가서~~

인쇄를 하고 나면 제본을 해야겠죠?

제본의 뜻을 살펴보니

"낱장으로 되어 있는 원고나 화고(畫稿), 인쇄물, 백지 따위를 

차례에 따라 실이나 철사로 매고 표지를 붙여 한 권의 책으로 꾸미는 일."

그러니까 낱장으로 되어있는 인쇄물을 한권의 책으로 만드는 일이라는 거네여.

(역시 이해하는데는 사전이 짱임🤗)

제본 과정은 눈으로 자세하게 모든 과정을 볼 수 있었어요~~😁

제본은 과정을 살펴보면

 앞면 8page, 뒷면 8page로 16page로 인쇄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을 페이지 순서대로 접는 과정을 거치고

풀로 표지를 붙이고 표지 날개를 접어 정리하면 완성!

아래 과정을 간략하게 찍어보았어요~

(좀 더 자세한 과정은 아래 영상으로 확인하세용~~)

https://youtu.be/jTE3_ms9VCw

기계의 발전이 놀랍고

직접 현장을 둘러면서 한권,한권 제대로 고객님 손에 보내기 위해서

초단위로 긴장하면서 일하시는 모습이

실제로 와서 보니 신뢰감이 상승하더라고요.

수고가 많으십니다~~(__)(--)


그리고 파주에 가면 꼭 들려야되는 맛집과 예쁜 까페를 슬쩍~ 알려드릴께요ㅋㅋ

우선 맛집으로

"장수대 황태해장국!!!"

제작물류 팀장님 소개로 가본 점심 메뉴인데

아........오뎅이랑 황태해장국의 궁합도 기가막히고 너무 맛있어요!!! 꼭 한 번 드셔보세요~

~ 그리고 ~


"뭐..그냥 까페야"라는 말에 기대안하고 갔다가

열심히 사진찍고 왔던 그곳

"카페뮤지엄"

분위기가 굉장히 좋고 커피는 찍지 못했지만 맛있어요.

다양한 메뉴들이 있으니 기분전환하는데 좋은 곳이라 봅니다~


출판의 나라 파주에

시간되실때 들리세요~~~

교양과 지성을 쌓아봅시다요~~

안뇽~~

요즘 반도체 인재가 부족하다

IT 인재가 부족하다는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경제한방>에서 4차산업 부족한 인재에 대한 인터뷰를 보고

🤩격한 공감에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 담아왔습니다🤩


박태웅 의장님이 인재부족에 대해

❗"굉장히 부족하다"❗

왜 부족한지는 긴 설명이 필요한데 "눈떠보니 선진국" 출간 후 대학교 몇군데를 다녀보면서

"너무 공부하고 싶다", "공부하고싶어 미치겠다","나는 계속 연구할 것이 있다"는 친구 손들어보라고 했을때

한 명도 없었고, 중학생조차 공부는 먹고살기위해서 한다고 해요.

(한빛냥도 어렸을때 공부 잘해야 돈을 잘 벌 수 있다는 말에 시무룩했던 기억이 나네여 😥)


한국이 사회적 안전판을 구축하는데 쓰는 예산이 OECD 국가중 "끝에서 3번째"다. 

OECD 평균이 20%가 좀 넘는데 한국이 12%로 끔찍한 수준이라는것

빈곤 탈출률도 ECE 평균이 64.1%인데 대한민국이 얼마나 될까? 19~21%

.................

노인 자살율이 압도적으로 1위라는 것도...

이렇다보니 사람들이 죽기 싫어 의사가 되고 공무원이 되고 있다고 해요.

(의장님 이야기를 들으니 저도 제가 나이가 들면 어떻게 살지..벌써부터 걱정을 하고 있...ㅠㅠ)


위의 문제들로 인해 인재 배분 시스템은 고장나고 반도체나 수학, 과학 공업의 인재가 통째로 부족한데요.

미국은 물리학과 졸업생이 늘어나는데

우리나라는 지방에 가면 물리학과 없는 학교가 태반이라고 합니다😨

반도체에서 양자역학을 이해하지 못하면 반도체를 만들수 없는데...

결국 물리쪽 인재가 끔찍하게 모자란 상황이 곧 올것이라고 얘기해주셨어요.

 이 상황이 반도체에만 국한된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


다음으로 박종훈 기자님의 질문은

인공지능도 생기고 직업이 사라진다는 말도 있는데 인재가 없다는 말이 왜 나오는 걸까요?


인공지능이나 로봇은 초입단계에 있고 아직 인공지능은 일상생활에 들어오지 못했어요.

예를들면 요즘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는게

디지털 카메라보다 훨씬 잘 나오는것도 인공지능으로 만들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것이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뺏었다고 하기에는 어렵죠.

오히려 디지털 기술로 일자리를 뺏긴 사례들이 있죠. 예로 톨게이트 징수원이 사라지는 일 등등..

AI가 사람이 하는일을 대체할 것은 틀림 없지만 저는 반론을 제시하고싶네요.

그 반론은


인간의 노동역사는 노동시간을 줄여가는 것으로 앞으로 줄 수 밖에 없는데요.

생산성으로 10명이 10,000개 만들던걸 100,000개를 만들수 있어 생산성이 10배로 올라온 현재!

이것이 10,000개만 팔아도 먹고살 수 있는 시대"인구는 비슷하고" 100,000만개가 생산되서

"10,000개가 팔리면"  90,000만개는 어디에 팔까요?

이것 때문에 과잉재고가 나오고 불황과 대공황이 나타나고 있는것입니다.

생산성이 10배가 올라가면 현명한 방식은 1시간 일하고 9시간을 여가로 교양을 쌓는 것이 합리적이에요.

하루 노동 8시간에서 너무 오래 머물렀어요.

인류가 현명했다면 머리를 맞대로 생산성을 나누고 논의해서

주 3회-4회로 먹고 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생산성을 높여지는 만큼 인간은 스스로를 위하는 쪽으로 눈을 돌려 보람찬 일을 하고

예로 노인 보살피는 직종을 늘린다던가 등 서로 돕고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면

남은 잉여산물로 다같이 잘먹고 잘살수 있어요.


 

우리나라는 창의적인 인재가 부족한것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반도체 인력이 모자르다고 반도체 학과를 만드는것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한 접근이라고 생각해요.

논리적인 사고력과 생각하고 순리적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능력 그리고 경청하는 태도, 경청한 내용을

잘 정리해서 상대방에게 보여주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요.

즉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려면 교육 방향은

코딩으로 예를 들자면, 어릴때부터 코딩을 가르치는 주입식 교육은

코딩하는 재미를 박탈당하는 것이기때문에

입시지옥에서 벗어나

어릴때 나의 적성은 무엇인가, 나는 무슨일을 할때 즐겁지의 기회를 줘야되요.

여가를 어떻게 보낼때 즐겁게 보내지? 나는 어떨때 자존감을 잃어버리지?

자존감이 잃어버릴때 어떻게 해결하지?학교에서 가르치고

준비해서 사회에 혼자 설 수 있도록 해야됩니다.

이 기회를 주지 않기때문에 인재 육성 시스템이 고장이 나는 것이에요.


한국만큼 공교육이 수준높에 만들어진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제 우리는 물 밖으로 나온 잠자리가 되었으니 부모와 학생이 같이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책을 많이 읽고 토론을 하고

경청을 배우도록

우리가 세상을 향해 요구를 해야되요.

공인인증서도 없어지지 않을 것 같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요구로 안면인식,

생체인식으로 바뀌어 편해진것처럼요.

교육도 마찬가지로 입시지옥이 영원히 없어질것같지 않지만

우리 애들이 허덕이는 인생을 살지 않게 요구를 하면

언젠가 바뀝니다.


한빛냥은

의장님 이야기를 들으면서

국민인 우리가 나라를 만들어 간다는 것을 잊지말고

다음 세대를 위해 지금 사회를 움직이는 어른들이

요구하고 바뀌도록 목소리를 높이고 꾸준히 두드려야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한국 교육으로는 4차산업 인재가 못나오는 이유>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방송을 통해 시청 가능합니다 ^^


https://youtu.be/W2sa8RkTT-o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안뇽~~^_^ 

+ Recent posts